이클립스에서 깃 사용하기
1. 깃 허브에 프로젝트 올리기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깃에 대한 필요성을 많이 느끼게 되었다.
우선, 이클립스에 깃환경을 만들어 놓아야 한다.
깃을 사용하기에 앞서, 깃을 사용할때 영어 단어의 뜻을 알면 사용하기가 편했다. = 용어 알기!!
(용어는 따라해보면서 익혀보세요)
=> 잘 모르겠으면 영어 단어를 찾아서 기능을 유추해보라는 말씀!
1). 프로젝트를 깃에 올리기
Share Project : 깃허브에 내 프로젝트를 올리기 전에 우선 local(지역의) 과 remote(먼)
local은 내 깃저장소를 말하는 것이고, remote는 깃허브 사이트에 만들어 놓은 저장소를 말하는 것이다.
local을 지정하는 이유는 만들어 보면 알게 된다.
1-0. 로컬 저장소 지정
맨 왼쪽 박스에서 create를 눌러서 local 저장소 = local repository
를 지정한다. 지정을 하면 오른쪽 아래와 같이 .git이라는 폴더를 생성해주는데 저것을 통해
remote, 즉 내 깃허브에 연동이 된다.
따로 만들어도 되지만, 나는 일부러 해당 프로젝트가 있는곳에 만들었다.
remote, 즉 내 깃허브에 연동이 된다.
따로 만들어도 되지만, 나는 일부러 해당 프로젝트가 있는곳에 만들었다.
지정을 하면 아래와 같이 > 과 [ ]가 나오게 된다.
주의 할점은 뭔가 생성할때 ? 가 안나오면 깃과 연동이 안된것...
1-1. Commit(위임, 위탁하다..)
깃에서의 commit은 로컬에 저장한다는 의미,
인터넷 깃 허브에는 올라가지 않는다.
commit을 할때는 반드시 Message를 남기고
+를 눌러서 편집한 것들을 staged Changes로 옮겨야 한다.
+ 프로젝트에서 편집을 하게 되면,
>표시가 나오면서 수정된것을 파악할 수 있다.
> 표시 되는것만 commit이 되는 것이다.
1-2. Push(밀다.)
깃에서의 push가 바로 remote repository인
자신의 깃사이트에서 repository에 넣는 작업이다.
push를 누를 때, URI를 가져와야 하는데 , 깃허브 에서, 계정을 만들고
create repository를 하면 해당 repository에서 URI를 받을 수 있다.
※ 가입할 때는 꼭 절차를 다 거쳐야 한다. 특히, 메일인증!! ※
위와같이하면 push가 되고, 해당 프로젝트의 표시들은 사라지고
깃사이트, 내 repository에서는 아래와 같이 생기게 된다.
여기까지 해보았다면, 깃에 올리는 방법은 알게 되었을 것이다.
헷갈리면 여러번 해보면 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