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스프레드시트 어떻게 만들어진걸까?
어쩌다가 생각하게 되었다.
구글 스프레드 시트? 어떻게 만들어 진거지?
자세한 내막은 알지 못하지만 그래도 어떤 언어를 사용하였는 지는 알 수 있다
그리고 추가로 GAS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구글 스프레드 시트는 JavaScript 기반으로 완성이 되었다.
구글 스프레드 시트에 많은 기능들(Add-on)을 추가할 수 있는데 이것은
GAS(Google Apps Script) 때문이라고 한다.
*GAS는 Microsoft 의 VBA(Visual Basic for Application) 라고 생각하면 된다.
구글 스프레드 시트에는 다양한 기능들이 존재한다.
1. 공유 작업 - (예) 링크를 공유해서 공동 작업
2. 웹문서로 공유, 출력용 문서로 공유
3. Addon ( 개인적으로 이게 맘에 든다 )
Excel과 비교했을 때, 단점이... 속도 라고 한다 .. 이점 유의해 두길...
자료를 찾으면서 느꼈던 것이,
확실히 언어의 대세가 달라지는 구나 라는 것과, VisualBasic의 쓰임새?
(개인적인 소견...) 예전에는 VisualBasic을 나도 잠깐 배웠었는데, Excel 같은것을 만드는데 쓰이는 줄 1도 몰랐다.
JavaScript가 확실히 핫 하다는 것을 알게 된... 그런 시간이었다 ㅋㅋㅋ
참고 : https://namu.wiki/w/%EA%B5%AC%EA%B8%80%20%EC%8A%A4%ED%94%84%EB%A0%88%EB%93%9C%EC%8B%9C%ED%8A%B8#rfn-2
반응형
'일상 기술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정리 (0) | 2019.04.23 |
---|---|
OSI 7계층 쓰임새와 암기 및 알아야할것 (0) | 2019.04.23 |
[웹] 쿠키와 세션의 차이점 - 2. 쿠키와 세션의 특징과 차이점 (0) | 2019.01.31 |
[웹] 쿠키와 세션의 차이점 - 1. 쿠키와 세션의 필요성 http의 특징. (0) | 2019.01.31 |
[자료구조] 스택? 큐? (0) | 2019.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