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를 들으면서 자주 사용할 것 같은 명령어들을 메모 해봤습니다
ls
-il : 파일의 고유 식별번호도 같이 볼 수 있음.
-al : 숨김 파일에 대한 정보도 확인 가능
.파일명 : 숨김파일을 의미한다.
ll
- ls 와 차이를 보자면 , 디렉터리 뒤에 / 표시가 있어서 디렉터리와 파일에 대한 정보를 더 명확히 볼 수 있다.
df
파일 디스크에 대한 용량을 확인할 때, 물리적인 디스크가 어떤 정보와 연결되어 있는지를 나타것이 마운
du (disk usage 약자)
파
반응형
'사이드 프로젝트 > 데이터 엔지니어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험] 다시 만드는 환경 구축 .. (2) | 2023.10.03 |
---|---|
역시 세팅은 쉽지 않다. (0) | 2023.03.09 |
[실습] Java 설치하기 (0) | 2023.03.09 |
[실습] 환경세팅 - git 설치 (0) | 2023.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