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123 구글 스프레드시트는 뭘로 만들어진 걸까? 구글 스프레드시트 어떻게 만들어진걸까? 어쩌다가 생각하게 되었다. 구글 스프레드 시트? 어떻게 만들어 진거지?자세한 내막은 알지 못하지만 그래도 어떤 언어를 사용하였는 지는 알 수 있다 그리고 추가로 GAS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구글 스프레드 시트는 JavaScript 기반으로 완성이 되었다. 구글 스프레드 시트에 많은 기능들(Add-on)을 추가할 수 있는데 이것은 GAS(Google Apps Script) 때문이라고 한다.*GAS는 Microsoft 의 VBA(Visual Basic for Application) 라고 생각하면 된다. 구글 스프레드 시트에는 다양한 기능들이 존재한다. 1. 공유 작업 - (예) 링크를 공유해서 공동 작업2. 웹문서로 공유, 출력용 문서로 공유3. Addon ( 개인적.. 2019. 2. 10. [웹] 쿠키와 세션의 차이점 - 2. 쿠키와 세션의 특징과 차이점 출처 : https://interconnection.tistory.com/74 그래서 쿠키는 뭐고 세션은 뭔데? (사용 예)쿠키 방문한 웹 페이지에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저장하시겠습니까?"라고 나타냄 "오늘 이 창을 다시 보지 않음" 체크쇼핑몰 장바구니 같은 기능 세션로그인과 같은 작업. 1. 쿠키란? - 클라이언트의 로컬에 저장되는 키와 값이 들어있는 작은 데이터 파일 - 이름, 값, 만료날짜(쿠키 저장 기간), 경로정보가 들어있음 - 일정 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어서 로그인 상태를 유지합니다. - 클라이언트의 상태 정보를 본인 하드디스크에 저장하였다가 필요할 때 참조 및 재사용 합니다. 1) 쿠키 원리 브라우저에서 웹 페이지 접속 ->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웹 페이지를 받으면서 쿠키를 클라이언.. 2019. 1. 31. [웹] 쿠키와 세션의 차이점 - 1. 쿠키와 세션의 필요성 http의 특징. 쿠키 & 세션..출처 : https://toma0912.tistory.com/69출처 : https://blog.sonim1.com/90 우선, HTTP의 특징을 알고가자.(Hyper Text Transfer Protocol) :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약속, 규칙). - 규칙에 맞게 개발하면 정보를 전달할 수 있음 - HTTP의 특징..-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통신을 할 때 마다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누구인지 인증을 계속해야 한다. 왜냐하면 Http프로토콜은 connectionless, stateless 한 특성이 있기 때문이다. connectionless(비연결지향) :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한 후 응답을 받으면 연결을 끊어버리는 특징http는 클라이언트가 request를 서버에 .. 2019. 1. 31. [자료구조] 스택? 큐? [자료구조] 스택? 큐? 1. 스택( stack : 쌓아올림 )출처: http://bluegalaxy.info/codewalk/2018/08/12/python-how-to-implement-a-lifo-stack/위 사진은 스택의 구조이다. 스택은 정보를 한쪽에서만 넣고 뺄 수 있는 형태이다.이것을 LIFO 구조라고 말한다.Last In First Out 이라는 말을 줄여서 표현한것이다. 스택에서 사용되는 함수는 Push와 PoP이 있다. 변수는 Top (초기값 : -1, 꼭데기를 가리키는 변수이다.) [예외 처리]자료가 없을때는 "Stack Underflow"자료를 넣을 수 없을 때는 "Stack Overflow"라는 에러가 생기게 된다. 2. 큐(queue : 줄)출처 : https://en.wiki.. 2019. 1. 31. 이전 1 ··· 19 20 21 22 23 24 25 ··· 3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