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상 기술노트54 anaconda에서 tensorflow사용 하기 anaconda에는 가상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곳이 있었습니다. conda create -n py36 python=3.6.0 이 명령어가, 가상화를 만들어 주는 명령어 인데요 py36이라는 가상화를 만들라는 명령어 입니다. gui환경에서도 만들 수 있습니다. 무슨 이유 때문인지... tensorflow를 anaconda로 돌리기는 어렵네요 ... conda info --envs 로, 어떤 가상화 환경에 있는지랑, 가상화 목록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과정] 1. 가상화 환경을 만든다. conda create -n py36 python=3.6.0 2. 가상화 환경으로 설정 activate py36 3. tensorflow설치. conda install tensorflow 여기까지 한 다음에 jupyter .. 2019. 4. 20. 구글 스프레드시트는 뭘로 만들어진 걸까? 구글 스프레드시트 어떻게 만들어진걸까? 어쩌다가 생각하게 되었다. 구글 스프레드 시트? 어떻게 만들어 진거지?자세한 내막은 알지 못하지만 그래도 어떤 언어를 사용하였는 지는 알 수 있다 그리고 추가로 GAS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구글 스프레드 시트는 JavaScript 기반으로 완성이 되었다. 구글 스프레드 시트에 많은 기능들(Add-on)을 추가할 수 있는데 이것은 GAS(Google Apps Script) 때문이라고 한다.*GAS는 Microsoft 의 VBA(Visual Basic for Application) 라고 생각하면 된다. 구글 스프레드 시트에는 다양한 기능들이 존재한다. 1. 공유 작업 - (예) 링크를 공유해서 공동 작업2. 웹문서로 공유, 출력용 문서로 공유3. Addon ( 개인적.. 2019. 2. 10. [웹] 쿠키와 세션의 차이점 - 2. 쿠키와 세션의 특징과 차이점 출처 : https://interconnection.tistory.com/74 그래서 쿠키는 뭐고 세션은 뭔데? (사용 예)쿠키 방문한 웹 페이지에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저장하시겠습니까?"라고 나타냄 "오늘 이 창을 다시 보지 않음" 체크쇼핑몰 장바구니 같은 기능 세션로그인과 같은 작업. 1. 쿠키란? - 클라이언트의 로컬에 저장되는 키와 값이 들어있는 작은 데이터 파일 - 이름, 값, 만료날짜(쿠키 저장 기간), 경로정보가 들어있음 - 일정 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어서 로그인 상태를 유지합니다. - 클라이언트의 상태 정보를 본인 하드디스크에 저장하였다가 필요할 때 참조 및 재사용 합니다. 1) 쿠키 원리 브라우저에서 웹 페이지 접속 ->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웹 페이지를 받으면서 쿠키를 클라이언.. 2019. 1. 31. [웹] 쿠키와 세션의 차이점 - 1. 쿠키와 세션의 필요성 http의 특징. 쿠키 & 세션..출처 : https://toma0912.tistory.com/69출처 : https://blog.sonim1.com/90 우선, HTTP의 특징을 알고가자.(Hyper Text Transfer Protocol) :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약속, 규칙). - 규칙에 맞게 개발하면 정보를 전달할 수 있음 - HTTP의 특징..-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통신을 할 때 마다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누구인지 인증을 계속해야 한다. 왜냐하면 Http프로토콜은 connectionless, stateless 한 특성이 있기 때문이다. connectionless(비연결지향) :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한 후 응답을 받으면 연결을 끊어버리는 특징http는 클라이언트가 request를 서버에 .. 2019. 1. 31. 이전 1 ··· 9 10 11 12 13 14 다음 반응형